📌정적 콘텐츠&동적 콘텐츠의 차이
✔정적인 페이지(Static Pages)
Web Server는 파일 경로 이름을 받아 경로와 일치하는 file contents를 반환한다.
항상 동일한 페이지를 반환한다. (2tier)
프론트앤드
Ex) image, html, css, javascript 파일과 같이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
✔동적인 페이지(Dynamic Pages)
WAS(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동적인 컨텐츠를 만들어냄==>WS에 전달==>클라이언트한테 인계(3tier)
로우데이타 ==>가공==>인포메이션==>언어화 ==> 콘텐츠탄생
백앤드
서버 어플리케이션 JAVA/Python/SQL등을 이용
📌MVC패턴
LD(로우데이터)-DAO
I(인포메이션)-Service
C(콘텐츠)-View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분석-Controller
✔SOLID원칙
SOLID 원칙들은 소프트웨어 작업에서 프로그래머가 소스 코드가 읽기 쉽고 확장하기 쉽게 될 때까지 소프트웨어 소스 코드를 리팩터링하여 코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지침이다. 이 원칙들은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과 적응적 소프트웨어 개발의 전반적 전략의 일부다.
두문자약어개념SOLID
SRP | 단일 책임 원칙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
OCP | 개방-폐쇄 원칙 (Open/closed principle)“소프트웨어 요소는 확장에는 열려 있으나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 한다.” |
LSP | 리스코프 치환 원칙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프로그램의 객체는 프로그램의 정확성을 깨뜨리지 않으면서 하위 타입의 인스턴스로 바꿀 수 있어야 한다.” 계약에 의한 설계를 참고하라. |
ISP |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특정 클라이언트를 위한 인터페이스 여러 개가 범용 인터페이스 하나보다 낫다.” |
DIP | 의존관계 역전 원칙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프로그래머는 “추상화에 의존해야지, 구체화에 의존하면 안된다.” 의존성 주입은 이 원칙을 따르는 방법 중 하나다. |
📌Web과 WAS
웹 서버란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클라이언트가 웹 브라우저에서 어떠한 요청을 하면 그 요청을 받아 정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이러한 웹 서버에는 Apache, NginX 등이 있다
WAS(Web Application Server)란 DB 조회 혹은 다양한 로직 처리를 요구하는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Application 서버이다.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사용자 컴퓨터나 장치에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해주는 미들웨어로서, 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같이 수행된다.
📌서블릿
자바 서블릿(Java Servlet)은 자바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서버측 프로그램 혹은 그 사양을 말하며, 흔히 "서블릿"이라 불린다. 자바 서블릿은 웹 서버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바 클래스의 일종이다. 서블릿은 JSP와 비슷한 점이 있지만, JSP가 HTML 문서 안에 Java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반면, 서블릿은 자바 코드 안에 HTML을 포함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웹기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6일차 📃_JSP?, JSP소스구성요소, JSP컨테이너의 역할, Servlet컨테이너의 역할 (0) | 2023.02.24 |
---|---|
JSP 5일차 📃_템플릿 엔진, MIME (0) | 2023.02.24 |
JSP 4일차 📃_ 서블릿 (0) | 2023.02.22 |
JSP_3일차 📃 서블릿과 JSP의 차이 (0) | 2023.02.21 |
JSP_1일차★웹이라는 공간에대한 개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클래스패스 (0) | 2023.02.20 |